1、선물 거래 정의
선물 거래란 물품, 화폐 또는 다른 상품들을 미래의 특정 시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사거나 판매하는 계약입니다.
전통적인 현물 시장과 달리 선물 시장에서는 거래가 즉시 ‘정산'되지 않습니다. 대신 두 거래 당사자는 미래의 특정 날짜에 정산하겠다는 계약을 거래합니다. 또한 선물 시장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상품이나 디지털 자산을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를 대신하는 계약을 거래하게 되며, 자산(또는 현금)의 교환은 계약이 실행되는 미래에 이뤄집니다.
간단한 예로, 밀이나 금 같은 물리적 상품의 선물 거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부 전통적인 선물 시장에서 이러한 계약들은 인도 대상으로 표시되며, 이는 상품이 실제로 배송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이나 밀을 보관하고 운송해야 하며, 추가적인 비용(운송비로 알려진)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많은 선물 시장은 현금으로 정산을 하며, 이는 동등한 가치의 현금이 정산됨(실제 상품을 교환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선물 시장의 금이나 밀의 가격은 계약 정산 일자가 얼마나 남았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시간 차이가 날수록, 더 많은 운송비용이 들며, 미래의 가격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현물 시장과 선물 시장의 잠재적 가격 차이가 더 커집니다.
2、계약 거래 종류
a. 정기 계약 : 결제일에 거래측 쌍방이 결제를 하며, 거래가 청산되어 종료되는 방식
b. 무기한 계약 : 무기한 계약은 특별한 형태의 선물 거래로, 전통 선물 거래와는 달리 만기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기간만큼 포지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기한 계약 거래는 기초 지수 가격에 기반합니다. 지수 가격은 자산의 평균 가격으로 구성되며, 이는 주요 현물 시장과 상대적 거래량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