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님들에게 암호화폐 이해를 돕고자 일부 암호화폐의 간단한 소개와 홈페이지를 안내드립니다.
코인명 | 소개 | 홈페이지 |
BTC | 비트코인은 최초로 구현된 암호화폐입니다. 발행 및 유통을 관리하는 중앙권력이나 중간상인 없이, P2P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주체적으로 화폐를 발행하고 이체내용을 공동으로 관리합니다. |
https://bitcoin.org/en/ |
ETH |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에 기초해 다양한 앱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며, 여기서 사용되는 가상화폐 또한 같은 이름으로 통용됩니다. |
https://www.ethereum.org/ |
XRP | 리플코인은 금융 거래를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인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이자 기초 화폐입니다. 이 코인을 매개로 전 세계의 화폐를 몇 초 내로 송금할 수 있어 혁신적인 실시간 통화 거래가 가능합니다. '리플 프로토콜'이란 분산원장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총액결제 시스템(RTS)’으로 국제결제시스템망(SWIFT)을 대체할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https://ripple.com/ |
LTC | 비트코인이 금이라면, 자신들은 은이라고 표현하는 라이트 코인은 비트코인에 기초해 만들어진 가상화폐로, 기술적인 면에서 비트코인과 거의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했기 때문에 사실상 비트코인의 파생 화폐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고 좀 더 나은 가상화폐가 되는 것이 라이트 코인의 목표라고 합니다. 일례로, 비트코인에 앞서 세그윗을 2017년에 이미 실행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기반으로 라이트닝 네트워크도 개발 중입니다. |
https://litecoin.org/ |
EOS | 이오스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수직/수평 확장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된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초당 수백만 건의 트랜잭션 처리 능력을 갖추면서도, 수수료가 없고, 빠르고 쉽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블록체인 아키텍처 기술이 탄생했습니다. |
https://eos.io/ |
USDT | 블록체인 기반의 미국 달러화를 기반으로 실제 달러화와 유사한 가치를 유지하는 암호화폐입니다.실제 달러화 유보금과 1:1정도의 비율을 유지함으로써 가치의 변동성이 거의 없음며, 가치 변동이 심한 다른 암호화폐 거래 시 안정적인 자산 운용을 위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https://tether.to/ |
BCH | 비트코인캐시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하드포크되어 나온 비트코인캐시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가상화폐입니다. 하드포크란 인위적으로 블록체인을 분절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비트코인캐시의 하드포크는 2017년 8월 1일에 시행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던 사용자들은 같은 양의 비트코인캐시를 추가로 받았으며, 이 방식으로 기존 비트코인의 채굴량만큼 배포되었습니다. |
https://www.bitcoincash.org/ |
XLM | 스텔라 루멘은 스텔라 결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가상화폐입니다. 스텔라는 리플 프로토콜에 기초하며, 새로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된 시스템입니다. 그러나 애초에 리플에서 포크되었기 때문에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스텔라 네트워크의 기본적인 비즈니스모델은 은행, 결제시스템, 그리고 사람들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 공개되는 공공의 장부, 즉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
https://www.stellar.org/ |
DOGE | 도지코인은 라이트코인을 바탕으로 하는, 도지 인터넷 밈을 마스코트로 채용한 암호화폐입니다. |
https://dogecoin.com/ |
ATOM | 코스모스는 기존 블록체인의 두 가지 큰 문제점인 확장성(Scalability) 및 상호운용성(Interoperobility) 개선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이며, 프레임워크입니다. 코스모스 허브(Hub)는 여러 개의 구역(Zone)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텐더민트 비잔틴 장애 허용(TBFT) 알고리즘으로 작동하는 허브들에서 다양한 체인들이 맞물려 돌아갈 수 있어 서로 다른 체인 간의 암호화폐가 탈중앙화 구조로 상호 교환될 수 있습니다. |
https://cosmos.network/ |
X | OAX의 거래소의 플랫폼 토큰입니다 |
www.oax.com |
OMG | 오미세고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한 금융 플랫폼으로, "Unbanked the Banked"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기존의 은행 서비스를 대체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오미세고는 태국, 싱가포르, 일본, 인도네시아를 주지역으로 2013년부터 지불 서비스를 운영해오던 오미세(Omise)라는 기업에 속한 자회사이자 프로젝트이며, 더 발전된 e-wallet (전자지갑)과 지불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
https://omisego.network/ |
ZIL |
질리카는 확장성(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프로젝트입니다. 현존하는 가장 빠른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질리카는 네트워크 샤딩이라는 기술을 활용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샤딩은 여러 노드들을 몇가지 샤드에 나눠 넣어서 동시에 트랜잭션을 처리하기에 속도가 빠릅니다. |
https://www.zilliqa.com/ |
USE | Usechain은 세계 첫 미러 아이덴티티 블록체인 생태계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입니다. |
https://www.usechain.net/ |
SECE | 카본 생태계 플랫폼 |
http://www.lingjiuyin.com/ |
Unigame | 블록체인 스포츠 토토 플랫폼 |
http://www.unigame.com/ |
MANA | 분산식 암호화폐 공유 플랫폼 |
https://decentraland.org/ |